1과목: 임의 구분
1. 금속의 동소변태를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2. 핵연료 및 신소재에 해당되는 것은?
3. 체심입방격자의 표시로 맞는 것은?
4. 금속의 소성변형에 속하지 않는 것은?
5. 재결정 온도가 가장 낮은 금속은?
6. 온도 t℃, 길이 ℓ인 물체가 t´℃로 가열되었을 경우 길이가 ℓ′로 늘어났을 때 선팽창계수를 구하는 식은?





7. 자기변태가 일어나는 온도는?
8. 합금의 평형상태도는 어떤 요소에 의해서 표시된 선도인가?
9. 청동의 주 성분은?
10. 순철(Fe)의 비중으로 맞는 것은?
11. 다음 중 자석강이 아닌 것은?
12. 시멘타이트(Fe3C)를 약 몇도[℃]로 가열하면 빠른 속도로 흑연을 분리시키는가?
13. 톰백은 어느 것에 속하는가?
14. 면심입방격자이며 용융점이 약 660℃인 원소는?
15. 상온에서 고체가 아닌 것은?
16. 물체의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은?
17. 기어 제도에서 피치원을 나타내는 선은?
18. 물체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선은?
19. 제도 용지의 종류 중 A4 용지의 크기는?
20. 다음 물체의 투상도에서 평면도로 옳은 것은?




" 입니다.
" 이 옳은 것입니다.2과목: 임의 구분
21. 다음 도형은 어느 단면도에 속하는가?
22. 물체의 수평면이나 수직면의 일부 모양만을 도시해도 충분할 경우에 어떤 투상도로 나타내면 좋은가?
23. 100 ± 0.05 로 표시된 치수의 공차는?
24. KS 규격에 의한 표면의 결(거칠기) 도시 기호 중 특별한 표면 가공을 하지 않을 때 사용하는 기호는?




" 입니다. 이 기호는 KS 규격에서 "일반적인 표면"을 나타내는 기호로, 특별한 가공이 없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매우 깨끗한 표면", "매우 거친 표면", "중간 정도의 표면"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25. 탄소강 단강품을 나타내는 재료기호는?
26. 미터 보통나사를 나타내는 기호는?
27. 다음 그림에서 테이퍼 값은 얼마인가?
28. 기계구조용 탄소강 중 담금질이 가장 잘되는 것은?
29. 담금질한 강을 뜨임처리하는 목적과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30. 일반적으로 심냉처리를 하지 않는 강종은?
31. 다음 제품을 열처리할 경우 1부위의 냉각속도를 1로 기준할 때 2부위의 냉각속도는?
32. 고체 침탄제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33. Cu-Be 합금이 스프링 재료로 우수한 성질을 나타내는 것은 무슨 처리를 한 것인가?
34. 복사고온계를 사용하는 방법 중 틀린 것은?
35. 탄소강의 열처리시 물 담금질 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36. Ms점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37. 강에서 담금질 균열의 발생 방지대책 중 틀린 것은?
38. 열처리 작업 중 가장 완만한 담금질 또는 풀림시 사용하는 냉각법은?
39. 담금질에 의하여 표면을 경화시키는 물리적 경화법은?
40. 열처리에 사용하는 전기로의 종류가 아닌 것은?
3과목: 임의 구분
41. 강의 담금질성을 가장 나쁘게하는 원소는?
42. 노기 가스의 분석에 사용되는 기기는?
43. 비철재료 중 경합금에 이용되는 가장 적합한 열처리 방법은?
44. 고온체의 적색방사선을 계기 내의 표준필라멘트와 그밝기를 비교,측정하는 온도계는?
45. 마템퍼링 과정이 바르게 된 것은?
46. 탄소 공구강을 담금질처리할 때 수냉으로 경화시키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
47. 열처리에 사용되는 발열체 중 최고 사용온도가 1600℃ 인비금속 발열체는?
48. 염욕로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49. 열처리에서 사용되는 온도 측정장치 중 제벡(Seebeck) 효과를 이용한 것은?
50. 다음 중 방진 마스크를 사용하여야 하는 작업은?
51. 광휘 열처리 작업시 안전 및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
52. 냉간가공시 마찰을 적게 하기 위하여 유제품을 도포하고자 한다. 열처리를 하기 전에 거쳐야 하는 작업은?
53. 담금질한 강을 0℃ 이하로 급랭시키는 처리는?
54. 표면경화 열처리에서 고주파 담금질 후 내부응력을 제거하는 템퍼링 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55. 가열로에 사용되는 중성내화재의 주 성분은?
56. 열처리시 산화방지를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57. 강에서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이며 펄라이트 변태를 지연시키는 것은?
58. 냉각제 중 염수의 장점이 아닌 것은?
59. 200∼300℃ 부근에서 강의 인장 강도나 경도가 상온인 경우 보다 커지고 연신율, 드로잉성이 작아져 깨어지기 쉬워지는 성질은?
60. 열을 급속히 전달하므로 강에서 오스템퍼링용 냉각제로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