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임의 구분
1. 축척의 눈금을 제도용지에 옮기거나 도면위의 선을 등분할때 사용되는 제도 용구는?
2. 제도 문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은?
3. 제도용지 전지를 그림과 같이 등분하였을 때 빗금친 부분의 크기는?
4. 아래 그림에서
각은 얼마인가?
5. 도면이 갖추어야 할 조건 중 관계가 없는 것은?
6. 다음 보기의 그림에 맞는 정면도는?




"가 정답입니다.7. 목재단면의 표시기호가 아닌 것은?




"입니다. 이는 목재의 단면이 아닌, 목재의 길이 방향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목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기호들입니다.8. 신발장의 설계요점 내용 중 잘못된 것은?
9. 좌우가 같은 형태를 이루지 않으나 시각적으로 균형을 이루는 형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0. 축척자(삼각 스케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1. 정투상법 중 3각법의 표현은 기준이 눈으로부터 어떤 순서로 위치하는가?
12. 건물의 외관을 나타내는 입면도 중 정면도를 가장 잘 표현한 것은?
13. 다음 중 2소점 투시도에서 소점이 아주 낮은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은?
14. 치수 기입법 중 틀린 것은?
15. 루우트비의 직사각형에 의한 구성비를 무엇이라 하는가?
16. 제도판의 재료로서 가장 좋은 것은?
17. 목질부가 굳고 함수율도 적으므로 노목이 되면 먼저 부패되는 곳은?
18. 목재의 제재품 건조법 중 틀린 것은?
19. 목재의 방부, 방충법 중 약제 처리에 속하지 않는 것은?
20. 수목줄기에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양분과 수분의 통로가 되는 세포는?
2과목: 임의 구분
21. 목재의 색채에 관한 기술중 옳지 않은 것은?
22. 목재의 인공건조방법이 아닌 것은?
23. 가구제작에 많이 이용되는 합판의 특성에 관한 기술로 옳지 않은 것은?
24. 강철과 비슷한 강도를 내며 비중은 강철의1/3 정도로 가벼우므로 항공기, 선박, 차량 등의 구조재에 많이 이용되는 수지는?
25. 양여닫이 장농문짝에 쓰이는 철물로 부적당한 것은?
26. 강당, 집회장, 극장 등의 음향조절용으로 쓰거나 일반건물의 벽 수장재로 주로 이용되는 것은?
27. 목재의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28. 다음은 황동의 용도로서 적당치 않은 것은?
29. 알루미늄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치 않은 것은?
30. 다음 경도의 설명 중 잘못된 것은?
31. 집성목재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2. 목재의 주요구성 세포 중 목세포의 비율로서 맞는 것은?
33. 밤나무, 벗나무, 오동나무 등은 어느과에 속하는 식물인가?
34. 마디가 길고, 강인하고, 가늘게 자르기에 좋다. 육질이 얇은 편이어서 가공하는 폭이 넓어 통, 가구, 완구, 자, 부채 등 다양한 공예품에 쓰이는 대나무의 종류는?
35. 좋은 아교를 선별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36. 끌공구 날갈기에서 옳지 않은 것은?
37. 구멍뚫기, 내외부의 면접기, 조각, 홈파기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장비는?
38. 쪽매방법 중 가장 강도가 큰 것은?
39. 다음 그림과 같은 가구 문짝에서 양판(A)을 넣고 조립할 때의 설명을 가장 옳게 한 것은?
40. 이음과 맞춤에서의 유의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3과목: 임의 구분
41. 장부 맞춤 작업공정 중 옳지 않은 기술은?
42. 옆판을 천판에 접착시키는 방법 중 가장 좋은 것은?




" 입니다. 이유는 이 접착제가 가장 강력하고 오랜 시간동안도 접착력이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천판과 옆판의 재질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어서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43. 다음 중 연귀맞춤 방법을 이용하지 않는 것은?
44. 그림과 같은 이음법의 명칭은?
45. 그림과 같은 주먹장 만들기에서 물매정도 A : B의 비율로 적당한 것은?
46. 대패 어미날 앞날의 각은?
47. 가장 견고한 쪽매 맞춤은?
48. 반턱통맞춤의 변형으로 정밀을 요구하는 맞춤으로 맞추었을 때 틈이 보이지 않게 하는 맞춤은?
49. 장부맞춤을 하는 순서로 옳은 것은?
50. 부재의 마구리를 보통 1/2로 깍아서 모서리와 모서리를 맞추는 맞춤법은?
51. 각끌기계에서 장부구멍의 폭을 조정하는 핸들은?
52. 규격이 1200㎜× 2400㎜인 합판1장을 가지고 290㎜× 450㎜ 규격의 판 몇장을 만들 수 있는가?
53. 접착제에 의한 접합시 이상적인 접착층의 두께는?
54. 작은부재를 이용하여 넓은부재를 얻는 방법은?
55. 다음 중 연귀자의 용도가 알맞은 것은 어느 것인가?
56. 다음 그림의 접합에 대한 명칭은 어느 것인가?
57. 대체로 가공량이 많으므로 천천히 작업하며 특히 부재를 댈 때와 끝날 때 주의하여 가공하여야 하는 기계는?
58. 톱질 작업시 톱질이 잘 되지 않았을 때 제일 먼저 점검하는 일은?
59. 그무개 사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60. 가구에서 착색이 자유롭고 견고하며 내열성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여 실내장식 및 가구재료로 사용되는 합성수지는?